Start Get Cookie : ASDHFASDJK_Naramal Cookie Exist 0001-01-01 00:00
End
|
 |
지난 연수/행사 |
지난 연수나 문학기행 등의 행사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예전에 진행되었던 연수나 각종 행사들의 내용을 살펴보시려면 이곳을 찾아와주세요. |
4월 28일(목) 오후 2시 30분에 대기자 접수 시작합니다.
여기는 연수 대기자로 신청하는 게시판입니다.
신청하셔도 수강생으로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대기자 신청 후 연수비 입금하지 마세요!!
빈 자리가 생기면 개별연락드립니다.
순번이 되시면 문자로 연락드릴 테니
연수비는 연락 받으신 후 입금해주세요.
[결제하기]를 눌러야 접수됩니다. 누르지 않으면 접수되지 않습니다.
[결제하기]를 누르셔도 누리집에서는 결제되지 않으니 염려 안 하셔도 됩니다.
1반 - 극 언어는 외계어다
강의 제목
|
극 언어는 외계어다
|
강사명
|
박춘근 교수
최성신 교수
|
강의 소개
|
수강생이, 극 언어, 특별히 공연 텍스트 이해를 바탕으로, 공연을 이해하는 경험이 되기를 목표로 합니다. 특별히 텍스트를 바탕으로 공연을 만들 때, 어떤 질문과 어떤 방법으로 단계별로 진행하는가에 대한 이해와 체험형 강의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국어수업시간에 공연 대본을 바탕으로 한 수업 진행이 흥미롭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
수강생들이 미리 준비하거나 알아야 할 것
|
적극적인 참여시 더 좋은 경험이 되리라 믿습니다
리딩시 배역을 맡아 도전해보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작품은 수업시간에 제공합니다.)
|
수업 일시
|
두 번째 월요일(5/9, 6/13, 7/11, 8/8) 19:30-21:30
|
모집 인원
|
15명
|
수강료
|
10만원
|
커리큘럼
|
1회차
(5/9)
|
뮤지컬 및 연극 대본의 기본적인 개요 및 구성
뮤지컬 및 대본 속 인물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요소들
- 왜 대본은 비슷한 형식일까?
- 왜 인물은 갈등을 겪게 될까?<박춘근>
|
2회차
(6/13)
|
짧은 장면과 노래 가사 써보기
- 나는 누구이고 무엇을 원하는가?
- 왜 나는 여기서 이 노래를 부르고 있을까?<박춘근>
|
3회차
(7/11)
|
Theatre, Drama, 캐릭터, 그리고 사건이란?
- 10분 연극 함께 보기 <최성신> - 함께 볼 작품: Super Hero
|
4회차
(8/8)
|
캐릭터 & 행동을 중심으로 텍스트 보기
10분 연극 활용<최성신> -함께 볼 작품: The rental
|
2반 - 기후 위기 시대의 문학
강의 제목
|
기후 위기 시대의 문학
|
강사명
|
강지희 평론가
|
강의 소개
|
기후 위기 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건 ‘종의 기원’을 다시 생각해보는 일이 아닐까요? 인간이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행위성을 발휘하는 대신 겸허하게 다양한 객체의 일부가 되는 방식으로 열어나가는 문학은 어떤 것일까요? 그랬을 때 자연은 우리에게 아름다움과 휴식을 선사하는 대상이 아니라, 어떤 역동성을 지닌 얼굴로 다시 다가올까요?
이 수업은 장애학, 동물권, 기후 위기와 관련된 담론들을 동시대 새로운 문학들과 겹쳐 읽으며, 인간 중심적 사고를 넘어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공존을 모색하는 방식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생태주의와 다른 관점을, 새로운 정치성과 미학성을 가지고 가는 텍스트들을 만나보면 좋겠습니다.
|
수강생들이 미리 준비하거나 알아야 할 것
|
연수 하루 전까지 패들랫을 통해 의견, 질문을 주시면 미리 공부하고 이야기하려 합니다.
(여유가 된다면 미니 비평 환영!)
|
수업 일시
|
세 번째 수요일(5/18, 6/15, 7/20, 8/17) 19:30-21:30
|
모집 인원
|
20명
|
수강료
|
10만원
|
커리큘럼
|
1회차
(5/18)
|
소설과 환경1 – 기후 위기 시대의 소설, ‘cli-fi’
* 아미타브 고시 『대혼란의 시대』 1부 (에코리브르, 2021)
* 정세랑의 「리셋」 (『목소리를 드릴게요』, 아작, 2020)
* 어슐러 K. 르귄 「제국보다 광대하고 더욱 느리게」 (『바람의 열두 방향』)
|
2회차
(6/15)
|
소설과 환경2 – 기후 위기 시대 새로운 연결
* 제이슨 히켈 『적을수록 풍요롭다』 서문+6장 (창비, 2021)
* 도나 해러웨이 「반려종 선언」 (『해러웨이 선언문』, 2019)
* 현호정의 『단명소녀투쟁기』 (사계절, 2021)
「라즈베리 부루」 (웹진 비유)
|
3회차
(7/20)
|
소설과 인물(동물)1 – 동물과 장애의 교차
* 수나우라 테일러 『짐을 끄는 짐승들』 4부 11-12장 (오월의 봄, 2020)
* 임솔아의 「초파리 돌보기」 (『아무것도 아니라고 잘라 말하기』, 문지, 2020)
* 서이제의 「두개골의 안과 밖」 (자음과모음, 2021년 여름호)
|
4회차
(8/17)
|
소설과 인물(식물)2 – 생동하는 식물성
* 에두아르도 콘 『숲은 생각한다』 2장 (사월의책, 2018)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 (자이언트북스, 2021)
* 김혜진의 「선흘의 여름」(에픽)
|
3반 - [북클럽] 팬데믹 시대의 책읽기 시즌2
북클럽 제목
|
팬데믹 시대의 책읽기 시즌2
|
호스트
|
김영희, 김현숙 교사
|
북클럽 소개
|
코로나가 만든 다양한 변화 양상이 우리를 고민하게 합니다. 학생의 모습이나 사회 현상이 우리가 교사로서 무엇을 해야하는가를 생각하게 합니다.
현실을 보여주는 책을 읽으며 내 삶과, 수업의 방향을 생각해봅니다.
|
수강생들이 미리 준비하거나 알아야 할 것
|
시즌1보다는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내용이 가볍지 않습니다.
그래도 즐겁게 읽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겠다는 마음으로 신청해주세요. :)
|
수업 일시
|
마지막 월요일(5/30, 6/27, 7/25) 20:00-22:00
|
모집 인원
|
8명
|
참가비
|
3만원
|
커리큘럼
|
1회차
(5/30)
|
노리나 허츠, 《고립의 시대》, 웅진지식하우스(2021)
(부제: 초연결 세계에 격리된 우리들)
|
2회차
(6/27)
|
셰이머스 라마 칸, 《특권》, 후마니타스(2019)
(부제: 명문 사립 고등학교의 새로운 엘리트 만들기)
|
3회차
(7/26)
|
조병영,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쌤앤파커스(2021)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순번
|
신청자명
|
신청일
|
신청내역
|
2
|
김정원(김정원)
|
2022-05-03 16:35
|
[1반:신청, 2반:신청 안 함, 3반:신청 안 함]
|
|
1
|
신주희(신주희)
|
2022-04-28 15:08
|
[1반:신청 안 함, 2반:신청, 3반:신청 안 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