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연수행사 > 지난 연수
처음으로  
  Search
Start
Get Cookie : ASDHFASDJK_Naramal
Cookie Exist
0001-01-01 00:00

End
전국국어교사모임 바로가기



연수행사
 
   지난 연수/행사 
지난 연수나 문학기행 등의 행사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예전에 진행되었던 연수나 각종 행사들의 내용을 살펴보시려면 이곳을 찾아와주세요.

연수행사상세보기

[자율연수]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 읽기와 쓰기 - 시 감상, 창작 수업의 실제


  상품이미지  
연수기간   2018-05-12 ~ 2018-05-12
접수기간   2018-03-16 ~ 2018-04-14
초등/중등  중등
지      역  전체
강      사
모집인원  20 명
신청인원  20 명   [신청자 명단 확인하기]
수 강 료  40,000 원
모집상태   모집완료
 
소개탭 자료실탭 동영상탭  

<전국국어교사모임 자율연수>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 읽기와 쓰기
        - 시 감상, 창작 수업의 실제
 
최근 국어교육에서 다양한 감상 후 활동 중심의 수업 모델이 꾸준하게 개발되고 확산되고 있는 반면 창작 수업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합니다. 이번 연수에서는 시 감상 수업의 사례를 공유하는 것에서 나아가 창작 수업의 단계를 직접 밟아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적인 진행 과정을 배웁니다. 장르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직접 창작해보는 것이라고 합니다. 아이들이 모호하고 난해하게 생각하는 시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수를 엽니다.
 
강사이신 ‘배창환’ 선생님은 시인이며, 국어교육에서 다양한 시 수업 방안을 실천해 오신 분입니다. 아이들과 꾸준히 시를 읽고 또 쓰며 교직생활을 해오셨습니다. 저서로는 『시집 잠든 그대(1984)』, 『다시 사랑하는 제자에게(1988)』, 『백두산 놀러 가자(1994)』, 『흔들림에 대한 작은 생각(2000)』, 『겨울 가야산(2006)』, 시선집 『서문시장 돼지고기 선술집(2012)』, 『소례리 길(2013)』, 시 수업 이론서 『이 좋은 시 공부(2002)』, 학생들의 글을 엮은 시집 『뜻밖의 선물(2007)』, 『36.4℃(2012)』, 『지금은 0교시(2014)』 , 학생 창작 수필집 『어느 아마추어 천문가처럼(2009)』, 『채식주의자라는 이름으로(2015)』 등이 있으며, 최근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 시 감상집 2권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1. 주제: 아이들과 시 읽기와 쓰기- 시 감상, 창작 수업의 실제(자율연수 7시간)
 
2. : 2018512() (09:00~17:00)
 
3. : 경기 상상캠퍼스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
※ 오시는 길 (대중교통)
버스: 수원역(수원역, AK플라자 정류장: 수원역 7번 출구)에서 탑승 후
푸른지대 정류장 하차 후 도보 1분 [720-2, 88-1, 88번 버스 이용]
택시: 수원역에서 택시 탑승 시 택시비 3500원 안팍 [총 거리 2.4km]
 
4. 인원: 20
실습 위주의 강의이며, 소규모로 진행하고자합니다.
 
5. 연수종별: 자율연수
 
6. 연수시간: 7시간
 
7. 연수비: 40,000
 
입금계좌: 농협, 312-0033-1657-71 [최지혜]
 
강사료, 대관료, 간식비, 도서비 포함. 중식비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점심식사는 개별적으로 합니다. 연수 장소 바로 옆에 식사를 할 수 있는 아늑한 공간이 있습니다. 식당에 문의해보니 1인당 6,000원 내외로 점심을 드실 수 있습니다.
 
8. 연수일정
날짜
시간
과정
5/12
(토)
8:30~9:00
접수
강의1 (9:00~12:00)
‘시 읽기 자료집’을 활용한
시 감상 및 창작 수업 강의 및 토의 활동
강의2 (13:00~17:00)
시 창작 실습 및 토의, 발표
 
9. 강의 안내
강의1. 시 읽기 자료집을 활용한 시 감상 및 창작 수업 강의
학생들에게 ‘좋은 시’는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고, 학생들의 삶의 수준에서 공감하고 감동하는 시, 학생들의 사고와 감성을 일깨우는 시입니다. 좋은 시를 자료집으로 만들어 읽고 감상을 나누는 활동은 시를 배우는 학생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준비된 자료집으로 실제 수업하듯이 해 봄으로써, 누구나 쉽게 시 수업에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강의2. 시 창작 실습 및 토의
시 수업의 시작이 읽기라면 마무리는 쓰기입니다. 실제로 써 보지 않고서는 시의 오묘한 맛과 그 안에 녹아 있는 리듬과 메시지를 체득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학생 시 창작 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의 안에 있는 신명(리듬)을 일깨우고, 언어생활의 정수(精髓)를 맛봄으로써, 주제를 아름답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고, 글쓰기에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흥미로운 과정입니다.
 
 
10. 문의: ktcjh0925@naver.com (최지혜 선생님) 
 
 
따뜻한 봄날, 소풍가는 마음으로 모여서 아이들에게 어떻게 시를 가르칠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_^


소개탭 자료실탭 동영상탭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소개탭 자료실탭 동영상탭  



순번 신청자명 신청일 신청내역
20 이경언(이경언) 2018-03-16 22:41
19 김혜련(김혜련) 2018-03-16 22:39
18 문선희(문선희) 2018-03-16 22:32
17 이현애(이현애) 2018-03-16 22:29
16 이윤선(이윤선) 2018-03-16 22:29
15 박유미(박유미) 2018-03-16 21:50
14 우수연(우수연) 2018-03-16 21:39
13 김지은3(김지은3) 2018-03-16 21:30
12 () 2018-03-16 21:20
11 연영미(연영미) 2018-03-16 21:17
10 송수진(송수진) 2018-03-16 21:16
9 () 2018-03-16 20:30
8 김현정(김현정) 2018-03-16 19:02
7 이지현(이지현) 2018-03-16 17:51
6 윤정임(윤정임) 2018-03-16 17:44
5 이자영(이자영) 2018-03-16 17:26
4 이혜숙c(이혜숙c) 2018-03-16 17:07
3 박신애(박신애) 2018-03-16 16:49
2 김애연(김애연) 2018-03-16 16:39
1 홍주희(홍주희) 2018-03-16 1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