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연수행사 > 지난 연수
처음으로  
  Search
Start
Get Cookie : ASDHFASDJK_Naramal
Cookie Exist
0001-01-01 00:00

End
전국국어교사모임 바로가기



연수행사
 
   지난 연수/행사 
지난 연수나 문학기행 등의 행사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예전에 진행되었던 연수나 각종 행사들의 내용을 살펴보시려면 이곳을 찾아와주세요.

연수행사상세보기

[자율연수]
[토론의 전사 시즌2 - 2기] 문학 시간에 토론하기(시와 토론)


  상품이미지  
연수기간   2014-10-30 ~ 2014-12-11
접수기간   2014-10-13 ~ 2014-10-29
초등/중등  전체
지      역  전체
강      사
모집인원  25 명
신청인원  23 명   [신청자 명단 확인하기]
수 강 료  160,000 원
모집상태   모집완료
 
소개탭 자료실탭 동영상탭  

토론의 전사 시즌2 - 2기
문학 시간에 토론하기(시와 토론)
 
 2009년 4월 토론의 전사 첫 발을 내딛은 이래 5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26기의 전사 연수를 진행하는 동안 많은 분들을 만났고 나누고 다시 헤어짐의 과정을 반복해왔습니다. 후속 모임을 만들어 운영도 했지만 후속 연수가 기획되면서 모임 역시 오래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그 동안의 작은 성과가 있다면 토론의 정신과 방법 등을 많은 선생님들과 나누었다는 점이고, 과연 토론은 우리에게 무엇이고 또 학교 현장에 어떤 토론을 어떻게 접목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펼쳐왔다는 점입니다. 부족하나마 두 권의 <토론의 전사>(2012)를 통해 선생님들과 토론에 대한 그 동안의 발걸음을 남길 수 있음을 깊이 고맙게 생각합니다.
지금 학교 현장에는 아직 토론에 대한 용기나 지혜가 부족해 토론을 처음부터 공부하고 싶은 분들도 계시고, 한편으로 나만의 토론 수업 철학이나 노하우를 고민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자신을 드러내지 않지만 이미 깊은 내공으로 여러 방법을 실천하시는 분들도 적지 않으시겠지요. 상황이 이러하니 토론의 전사도 무언가 다른 꼴과 방향으로 진화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마침 진보교육감의 대거 등장으로 학교는 혁신을 지행하고 현장은 그 방법에 대한 고민 또한 깊어갑니다. 토론이 혁신의 아이콘은 아니지만 적어도 수업을 바꾸어나가는 작은 씨앗을 될 수 있으리라는 믿음으로 다시 고민의 수위를 높여봅니다. 특히 아직도 독서와 쓰기 등에 많은 비중을 두는 국어나 문학 수업에 삶과 현실을 녹여내는 토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가 그 고민의 핵심입니다.
이에 토론의 전사는 변화의 시대를 맞아 토론의 새로운 방향을 찾는 2세대의 길을 열어보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문학시간과 국어시간에 작품을 어떻게 접목하고 어떤 방법으로 토론 수업을 기획,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들을 나누어 보려 합니다. 그 과정의 첫 단추로 현대소설과 시로 우리들의 삶에 대한 공부로 출발합니다. 공부 과정은 평론가, 작가와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서 소설과 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설로 토론하기에 이어 시로 토론하기 과정도 같이 진행하고요. 이 두 과정은 향후 <문학시간에 토론하기 - 시편> 집필을 위한 준비 과정이기도 합니다. 반드시 집필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지와 역량만 된다면 누구든지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문학을 좋아하고 토론을 고민하지만, 문학시간에 토론을 어떻게 접목할지 길이 안보이시는 분들끼리 모여 함께 공부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일정표
 
회차
제목
날짜
(요일)
공부 내용
진행 혹은 강사
1
시로 만나는 나
10.30(목)
내 인생의 시 세 편
시집 세 권
유동걸(토론의 전사 운영자)
2
시수업만들기1
11.6
(목)
시 영상 만들기
시집으로 아이들 만나기
하고운(덕수고 교사)
3
시수업 만들기 2
11.14
()
시로 읽는 416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시를 활용한 노란 테이블
유동걸(영동일고 교사)
4
시 수업 만들기3
11.20
(목)
시 토론과 비평글 쓰기
오연경(문학 평론가)
5
시수업 만들기4
11.27
(목)
시와 토론이 만나는 길
유동걸(영동일고교사)
6
시인과 시
12.4(목)
시인은 왜 쓰는가
<슬픔이 없는 십오초>
<눈 앞에 없는 사람>
<그을린 예술>
심보선(시인)
7
시와 비평
12.6()
오후3
시를 읽는 몇 가지 방법
<몰락의 에티카>
<느낌의 공동체>
신형철(문학 평론가, 조선대 교수)
8
수업 시연하기 피드백(마무리)
집필 계획
(1박 모꼬지)
12.12
~12.13(금토)
2~3인 1모둠으로 작품 선정 후 지도안 작성하기
모둠별 지도안 작성 수정하여 참가자 대상으로 실제 수업하기
문학 시간에 토론하기 집필 계획 나누기.
유동걸
(일정은 강사 사정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1차 : 내 인생의 시, 시집을 통한 만남의 시간.
 
2차 : 하고운 선생님과 함께 시 영상 만들기를 통하여 시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영상 창작 방법 지도 노하우를 익힌다. 시집을 활용한 수업하기에 대한 방법도 전수
 
3차 : 세월호 아픔 이후 상처받은 이들에게 희망의 씨앗을 나누어가는 희망제작소가 만들어낸 원탁토론의 사회적 실천 - 노란 테이블 활동을 시로 풀어본다.
 
4차 : 시를 읽고 토론한 뒤 시에 대한 감상 비평을 글로 어떻게 쓰게 하면 좋은가. 국어교사에서 비평가로 변신한 오연경 선생님의 비평글쓰기 노하우~
 
5차 : 시 읽고 쓰고 토론하기. 시 수업을 다양한 토론과 연계하여 지도하기.
 
6차 : 작가 심보선 선생님으로부터 시 쓰기의 의미와 과정을 들어본다. 시인의 시집을 읽고 작품이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탐구한다. 일종의 작가론.
 
7차 : 평론가 신형철 선생님과 함께 문학 이야기 나누기. 소설 해석에 이어 시를 읽고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 등을 탐색한다.
 
8차 : 서 말의 구슬을 어떻게 꿸까? 그 동안 배운 시와 토론의 결합을 수업 시간에 어떻게 구현할까? 그 동안 함께 공부한 교사들의 1박2일. 죽이 되거나 밥이 되는 한 번 의기투합.
 


소개탭 자료실탭 동영상탭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소개탭 자료실탭 동영상탭  



순번 신청자명 신청일 신청내역
23 윤선아 (윤선아 ) 2014-10-25 16:07
22 이경옥(이경옥) 2014-10-24 22:18
21 지명남(지명남) 2014-10-24 14:32
20 고정숙(고정숙) 2014-10-24 08:45
19 유여종(유여종) 2014-10-23 22:02
18 유호선(유호선) 2014-10-23 17:00
17 이은영(이은영) 2014-10-23 16:00
16 () 2014-10-23 11:36
15 노은주(노은주) 2014-10-22 09:57
14 이영신b(이영신b) 2014-10-21 22:00
13 장진희(장진희) 2014-10-21 16:30
12 김민재(김민재) 2014-10-21 13:58
11 이화수(이화수) 2014-10-20 19:41
10 서은지(서은지) 2014-10-20 18:59
9 이종은1(이종은1) 2014-10-19 23:42
8 황수현(황수현) 2014-10-17 22:14
7 김영아1(김영아1) 2014-10-17 13:46
6 문숙희1(문숙희1) 2014-10-16 20:02
5 함성자(함성자) 2014-10-16 18:47
4 김명숙(김명숙) 2014-10-16 18:44
3 조인태(조인태) 2014-10-16 15:57
2 이수산(이수산) 2014-10-15 20:56
1 조인혜(조인혜) 2014-10-1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