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대 석사 논문 계획을 아래와 같이 잡아보았습니다. 전문가 검토를 위한 타당화 과정을 위해 정현선 교수님, 김양은 교수님, 우리 모임 선생님들께 조언을 구하고 있습니다. 28일 모임에 참석하지 못한 김동욱 선생님이 궁금해 하시길래, 연구 목적과 설문지 올립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나름 의미있는 연구가 되기를 바라는데 저 혼자만으로는 쉽지 않네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그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매체언어(혹은 매체문식성) 교육에 대한 연구 성과와 더불어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한국사회의 교육과정 변화 요구를 받아들여 매체언어 교육을 큰 폭으로 수용하였다. 비록 계발 단계에서 매체언어 영역의 독립이 과거 영역 체계로 회귀하고, 고교 선택 과목 개설 역시 결과적으로 빛을 보진 못했으나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일선 교육 현장에 매체언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그 교육적 가능성을 물은 것은 여러 면에서 의미있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간과하고 넘어간 부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바로 현장 국어교사들이 생각하고 진행하는 매체언어 교육의 실제 모습이다. 선행 연구(김대희,2010)에 의하면 근래 현장에 선 젊은 교사들 역시 대학 전공 수업을 통한 매체언어 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20대 젊은 교사들의 상황이 이럴진대 고경력 교사가 맞닥트린 당면 과제는 또 얼마나 무겁고 어려운 일일까?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들이 국어교육에서 매체언어 교육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일지,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이나 요구에 귀 기울이지 않은 점을 반성하고자 한다.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첫째,미디어와 매체언어 교육에 대한 국어교사의 일반적 인식, 둘째실제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매체언어 교육의 실행 형태, 셋째본격적으로 매체언어를 다룬 2007 개정 교육과정 위계와 교과서 바탕글 및 활동의 적절성에 판단, 넷째매체언어 교육이 제대로 뿌리내리기 위한 선결 조건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이를 통해 얻은 정보가 이후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체계와 방향을 잡고, 현장 교사가 매체언어 교육을 올바른 방향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해 본다.